빙 AI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인공지능 챗봇 프로그램으로써 페이지의 요약, 번역, 키워드 추출등의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정보 전달 시 출처 포함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더욱 신뢰성을 주는 인공지능 챗봇입니다. 또한 마이크로소프트 엣지에 포함되어 있는 인공지능 그림 제작 프로그램과 글쓰기 프로그램 역시 사용자의 스타일을 고려한 기능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빙 AI(Bing AI)와 마이크로소프트 엣지의 인공지능 기술을 알아보려고 합니다.
목차
1. 빙 AI(Bing AI)의 특징
2. 빙 AI(Bing AI)의 지원 기능
3. 마이크로소프트 엣지의 인공지능 기술
1.빙 AI의 특징
- 빙 AI(Bing AI)는 기본적으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때 참고자료도 함께 제공합니다.
- 사용자는 빙의 대화스타일을 선택할 수 있으며 창작, 균형 잡힘, 정확함 등의 총 3가지 스타일을 지원합니다.
- 빙 AI는 20회의 토근 제한이 있습니다. 토큰 제한이 풀리면 새 토픽을 만들어줘야 합니다.
2.빙 AI와 위젯
빙 AI(Bing AI)의 인터페이스입니다.
- 가운데에는 대화스타일 선택 창이 있습니다.
- 빙의 말풍선을 보면 우측 하단에 1/20이 되어 있습니다. 이는 20회의 제한이 있다는 것입니다.
- 좌측 하단에는 새 토픽이 있습니다. 20회의 제한이 되었으면 새 토픽을 눌러줘서 다시 채팅을 시작합니다.
앞서 언급한 것처럼, 빙 AI(Bing AI)는 기본적으로 출처를 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해당 답변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판단을 할 수 있습니다.
기본적으로 빙 AI(Bing AI)는 빙사이트에서 위젯으로도 지원합니다.
3. 마이크로소프트 엣지의 인공지능 프로그램
- 마이크로소프트 엣지의 우측 배너를 확인합니다.
- 우측 상단의 빙 AI (Bing AI) 아이콘과 아래에서 세 번째 그림 아이콘이 핵심입니다.
- 마이크로소프트엣지에서는 기본적으로 빙 AI(Bing AI)를 지원합니다.
- 또한 작성주제를 설정하여 인공지능으로 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.
- 인공지능 그림 제작 기능을 지원합니다.
- 원하는 그림의 영어단어를 입력하면 마이크로소프트 엣지가 인공지능으로 그림을 만들어줍니다.
- 해당 그림 인공지능은 Dall .E를 활용합니다.
지금까지 빙AI와 마이크로소프트 엣지에 내장되어 있는 인공지능 프로그램들을 살펴보았습니다. 빙 AI는 기본적으로 참고문헌을 제시하면서 정보를 제공합니다. 또한 창작, 균형잡힘, 정확성 등의 3가지 스타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 또한 마이크로소프트 엣지에는 글 작성, 이미지 제작 등 인공지능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습니다. 저는 구글크롬과 빙AI만 사용해서 잘 알지 못하고 있었습니다만 이번 기회에 알게 되었습니다. 지금까지 소개드린 빙 AI와 마이크로소프트 엣지는 좀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스타일도 고려하는 듯 합니다. 해당 포스트를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